지구상에서 가장 영양소가 풍부하면서도 가격이 저렴한 식품 중 하나인 계란
한국인의 식탁에 빠지지 않는 재료로 한국인이 많이 먹는 식품 16위인 달걀은 최고급 단백질과 아미노산, 칼슘, 아연, 철분을 비롯해 비타민 A, B, D도 풍부하게 들어있어 완전식품이라 불리우는 슈퍼푸드 입니다.
마트나 편의점 등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달걀, 그런데 유심히 보면 계란에는 번호가 있습니다. 유통기한? 소비기한?
이번 포스팅은 계란 번호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지 그리고 달걀 소비기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달걀 소비기한
먼저 계란은 보통 세척계란과 세척하지 않은 계란으로 유통이 되는데 세척하여 냉장상태로 유통되는 계란은 상대적으로 유통기한이 짧으며 오히려 세척하지 않은 계란이 유통기한이 깁니다.
계란 소비기한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달걀의 권장 유통기간을 산란일로부터 45일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세척란을 기준으로 10℃ 이하의 냉장상태에서 보관했을 경우)
- 삶은 계란 유통기한: 삶은 계란은 수분이 많이 포함되어 유통기한이 짧습니다. 냉장 보관 시 3~4일, 상온 보관 시 이틀 내에 먹어야 합니다.
- 구운 계란의 유통기한: 굽는 과정에서 수분이 적어지기 때문에 구운 후 보통 45일까지 섭취가 가능합니다.
달걀의 소비기한은 일반적으로 유통기한이 지난 후 25일 입니다. 즉 날달걀의 경우 냉장상태에서 잘 보관되었다면 산란후 70일이내에 먹을 수 있습니다.
- 삶은 달걀 소비기한: 완숙달걀은 껍데기 유무와 무관하게 냉장 상태에서 1주일 이내 소비하도록 권장 합니다.
- 구운 달걀 소비기한: 구운달걀의 소비기한 참고값은 35일입니다. 시판중인 구운달걀의 포장을 보면 소비기한이 3~90일로 다양한데 품질안전한계기간이 52일인 점을 감안하면 적절한 기간에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유통기한 소비기한 지난 달걀 먹어도 될까요?
달걀이 상했는지 안상했는지 물에 띄어보면 확실히 알수 있습니다. 달걀이 물에 떠있으면 상한거고 가라않으면 섭취해도 가능한 상태 입니다.
계란 번호 의미
계란에 있는 숫자는 유통기한이나 소비기한이 아닙니다.
바로 난각번호라 하며 이는 동물복지 향상을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2018년 부터 시행된 '달걀사육환경 표시제' 때문에 표기 된 것 입니다.
달걀 사육환경 표시제(난각표시제)에 따라 달걀 껍데기에는 산란일자, 생산자 정보, 사육환경을 표기되어 있습니다.
계란에는 총 10개의 숫자 및 영문이 혼합되어 있는데요.
1. 처음 4개의 숫자는 '산란일자' 를 의미합니다.
2. 중간에 영문과 숫자가 혼합된 5자리 글자는 '생산자 고유번호'를 의미합니다.
3. 마지막 숫자(1자리)는 사육환경번호로 1~4번까지 있는데 그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 방사 사육
- 2 - 축사 내 평사
- 3 - 개선된 케이지
- 4 - 배터리 케이지
여기서 동물복지인증 달걀이란 바로 케이지프리 달걀로 닭을 케이지에 가두지 않는 1,2번 사육환경의 암탉이 낳은 계란을 뜻 합니다.
계란 고르는법
좋은 달걀을 고르는 방법은 유정란 여부를 따지진 않아도 되며 크기나 무게를 표면상태를 보고 선택해야 합니다. 달걀을 깨트렸을 때 흰자위가 하얗고 탁하게 보인다면 신선하다는 뜻 입니다.
신선한 달걀 흰자위는 탄산가스가 많이 함유돼있어 희고 탁해 보이기 때문 입니다.
- 달걀에 금이 가지 않는 것
- 크기가 비슷하고 무게가 무거운 달걀
- 표면이 깨끗하고 매끈하며 반점이나 거친 흔적이 적은 달걀
- 계란을 흔들었을 때 내용물이 크게 출렁이지 않는 달걀
끝으로 계란을 보관 할 때에는 별도로 세척하지 않고 냉장 보관을 하며 냉장고 문에 보관하면 문을 여닫을 때마다 흔들이면서 알끈이 풀릴 수 있기 때문에 냉장도 안 쪽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글